[wjdcor]5년간 실종 발달·정신장애인 사망 196건, 맞춤형 대책은 ‘지지부진’
페이지 정보
작성일 24-08-22 09:20본문

최근 5년간 평균 장애인 인구수 대비 실종 접수건수 비율을 살펴보면, 실종에 취약한 장애인의 특수성이 더욱 여실히 드러난다.
최근 5년간 18세 미만 아동 인구수 대비 실종 접수건수 비율은 0.3%지만, 발달·정신장애인의 경우 약 2.18%로 무려 7배나 더 많이 실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또한 최근 5년간 실종아동보다 실종 장애인이 평균적으로 미발견된 비율이 약 2배 높았으며, 발견 시 사망한 비율 또한 약 7배나 높았다.
현행 실종아동법에 따르면 실종아동에 관한 업무는 아동권리보장원, 실종 치매노인에 관한 업무는 중앙치매센터로 위탁해 수행하도록 돼 있는 반면, 실종 발달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담당 기관을 규정하지 않고 있다.
실종 발달장애인 등 관련 대응을 아동정책에 관한 업무를 주로 맡고 있는 아동권리보장원에서 함께 수행하고 있는 것.
이에 최 의원은 발달장애인 등의 특성을 고려한 실종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도록 하고, 실종 발달장애인 등 대응 업무를 아동권리보장원에서 분리해 별도의 담당기관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‘실종아동법’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.
최 의원은 “실종에 취약하고, 더 치명적인 발달장애인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는 발달장애인등의 맞춤형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”이라고 지적하며, “실종이 되더라도 하루라도 빨리 가족의 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법 개정을 서둘러 추진해 나갈 것”이라고 각오를 밝혔다.
-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(ablenews.co.kr)-
-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@ablenews.co.kr-
출처 : 에이블뉴스(https://www.ablenews.co.kr)